풍요, 평화, 나태, 게으름,
풍부, 풍류, 탐욕

임인년(壬寅年)과 목(木)일주
임인년(壬寅年)과 화(火)일주
임인년(壬寅年)과 토(土)일주
임인년(壬寅年)과 금(金)일주
임인년(壬寅年)과 수(水)일주
식신(食神)의 기본 의미
식신은 문자 그대로는, 식(먹을식: 食) 신(귀신신: 神) 음식을 먹는 귀신이다. 식신이 있는 명(命)들은 음식도 상당히 좋아하고 잘 먹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식신은 사주에서 건강과 수명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식욕은 자연히 수면욕, 성욕과도 연관된다. 어떻게 보면 식신은 본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식상(食傷)은 모두 내 표현을 표현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사주에 식상이 있는 사람들이 없는 사람들 보다 표현도 많고 말솜씨도 있다.
(상관이랑은 조금 다르지만) 식신은 외부의 것을 인지하고 내 방식으로 한 번 걸러서 표현한다.
본능을 표현하는 것, 자기의 것이니 식신은 왜곡이 없고 순수하다.
식신은 본능이고 이러한 내 본능을 표현하는 창구역할 또한 한다.
그리고 식신은 꾸준하다. 옆으로 보지 않고 자기의 것만 하는 외길인생이다. 꾸준히 노력하고 힘 쓰니 파고드는 것에 능하다. 학문,연구,수사 이런 것들이 능할 수 있다.
식신은 보통 재성과 연관이 있다라고 볼 수 있다. 식신이 생하는 것이 재성이기 때문이다.
근데 조금만 생각 해 보면 진짜 순환하는 십성의 연관고리를 큰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재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꾸준해야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신체 튼튼하고 먹는 것 잘 먹고 잘 자야지 또 벌떡 일어나서 돈 벌러 나가는 것이다.
(식상이랑은 또 다르지만) 식신은 재를 생하는 십성이다.
일간의 힘을 받아서 꾸준하게 활동해서 재를 만들어낸다.
식신은 꾸준한 노력이다. 행동이 느리지만 꾸준히 무언가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식신은 부지런하다고 말할 수 있다.
식신은 재산증식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무언가를 꾸준히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식신생재가 잘된 명들은 결과물도 잘 나온다. 그렇기에 여유가 있다.
사람이 좀 봤을 때 여유롭다~ 부드럽다 이런 느낌의 사람들은 식신생재가 잘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식신은 대가없이 자신이 가진것을 퍼주는 마음을 뜻하기도한다. 그렇기에 마음이 여유롭고 풍요롭다.
(여유를 증폭시키는 것이지)
식신이 정재를 보게 되면 꾸준함의 끝판왕이 되는 것이다.
(무슨말인지 이해 한가시는 분들은 위의 재성파트를 읽고오시길 바란다)
사업의 규모는 크지 않을테지만 실속있고 알찬 사업을 만들 수 있다.
식신이 정관을 만날 때, 발복한다.
댓글